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Frame Work/FastAPI

(18)
[FastAPI] 실행은 Factory Pattern을 적용하자. 개요최근에 FastAPI를 통해 이것저것 시도해보고 있는 중이다. 무언가를 새롭게 배우고 있는 중이라 확실히 알아가는 재미를 느끼고 있다.  문제는 개발하려는 개념을 쪼개서 Project 구조에 녹이려다 보니 FastAPI Document에서 제시하는 내용을 가지고는 부족함을 느끼고 있다. 그래서인지 항상 Google에 이것저것 검색하게 되면서 "삽질"의 시간이 늘어난다.. 이번 글은 FastAPI를 실행시키기 위한 진입점인 main.py 혹은 경우에 따라서는 app.py 로도 사용하는 파일에 대해 고찰한 내용이다.  FastAPI를 실행시키기 위한 진입점FastAPI Document는 FastAPI를 구동시키기 위해 main.py라는 파일에  다음과 같은 코드를 사용하라고 가이드해 준다.from typ..
[FastAPI] Pydantic GenericModel을 이용한 Response Data 문서화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개요 최근 들어 FastAPI를 다뤄볼 일이 생겼다. 그동안 Django나 Flask를 다루면서 겪었던 문제인 API 문서 생성 방법은 추가적인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거나 직접 문서를 작성하는 방식이었다. 이는 결국 라이브러리를 익히고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를 또 고민해야 한다는 점에서 러닝 커브가 발생했다. 그러나 FastAPI에는 API 문서를 자동 생성해 주는 기능이 포함되었기에 편리함을 몸소 체감 중이다. 조금 더 알아보다가 type hint를 잘 사용한다면 조금 입맛대로 표현해볼 수 있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들었다. FastAPI에서 API 문서를 생성할 때는 pydantic의 BaseModel과 많이 연계된 듯 보이는데 그렇다면 pydantic에 Generic..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