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한 달가량 다녔던 회사에 대해 돌아보고자 하는 차원에서 이 글을 작성하려 한다.
개인 심정을 드러내는 글이기에 이 글이 나에게 추후 어떤 영향을 끼칠지 모르지만 실패로부터 배우고 시도로부터 나아가기 위한 노력이라는 감상을 가진 채로 적어보고자 한다. 한 달가량 정도 경험한 일을 가지고 “떠난다”라고 표현하는 게 너무 과분한 느낌도 든다. 적어도 나에겐 “떠난다”라는 표현은 그동안 짊어진 무게와 책임을 내려놓고 다음 스텝을 향해 한 걸음 내딛는다라는 표현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글을 쓰는 건 “한 달”임에도 불구하고 여운이 남는 경험 때문이다.
왜 떠나는지
결국 “경험” 때문이다.
배경은 이러하다.
일전에 면접을 봤던 회사에서 다시 면접 제안이 왔었다. 다시 면접을 보고 돌아왔을 때 이 회사는 여전히 다니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면접 제안이 온 회사는 향후 나에게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매력적인 조건을 갖춘 회사라고 생각되는 게 그 이유였다. 쌓아온 경험을 바탕으로 더 넓은 시야에서 일을 해볼 수 있는 규모와 특정 산업에 대한 도메인 경험이 그러한 요소이다.
다음 회사에 가게 되면서 포기해야 되는 것이 하나 있었는데 이는 미래에 대한 “투자” 정도로 여기려 한다. 혹자는 기회는 만들어나가면 된다고 하지만 주어진 기회를 마다할 이유는 또 없는 듯하다. 다만 얻고자 하는 것들이 “투자”라고 생각해 포기한 부분보다 컸으면 하는 바람이다.
혹여 이 글이 진짜 부검메일이라고 가정한다면 이러한 내용이 같이 일했던 분들에게는 이해할 수 있는 이유가 될는지는 모르겠다. 넘어가는 회사는 한 달가량 몸담았던 회사와 같은 산업이기도 하며 차이가 있다면 현재까지는 “규모”로 발생하는 프로세스적인 측면이기 때문이다.
회사에서 배운 것
한 달가량의 시도로부터 배웠던 점을 꼽자면 중단되었던 프로젝트의 코드를 재개발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아키텍처를 도입할 수 있었다는 점이 첫 번째다.
회사를 다니지 않았던 공백기에 Java/Spring을 공부하면서 만들었던 간단한 API를 통해 익히게 된 새로운 구조를 Python/FastAPI 에 사용할 수 있었다. 이것으로부터 얻은 인사이트는 개발 간 중요한 건 구현도 구현이지만 결국은 유지보수가 되게끔 만들어나가야 한다라는 점이다.
개발자는 협업해야 하는 유기체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주변 동료가 아닌 당장 내일의 스스로와 협업해야 할 수도 있고 어쩌면 1년 뒤의 내가 될 수도 있다. 이건 마치 쉐도우 복싱하는 것일 수도 있지만 적어도 “돌아가게” 만드는 제품을 만드는 중심에는 “유지보수성”이 있어야 하지 않나 싶다.
두 번째는 최복동(”최고의 복지는 동료다”의 줄임말)이다. 이방인이 주장하는 새로운 구조를 받아들여 적용할 만큼의 신뢰를 주셨고 더 나아가 그것을 따라와 주시는 동안 건설적인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다는 점이다. 포장되어 허울 좋은 항목만 나열하는 복지보다 일의 즐거움과 일을 하면서 발전한다는 사실을 체감하며 내일도 회사에 나가고 싶다는 생각이 들게 만드는 것이 좋은 복지이고 그 중심에는 어떤 사람과 같이 일을 하는가에 달려있지 싶다.
그러한 부분에 있어 “나는 같이 일하고 싶은 사람인가?”를 고민하면서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도 중요한 포인트로 잡아봐야겠다. 겸손함을 유지한 채 타인을 신뢰하며 일한다는 건 그만큼 어렵다는 걸 알고 있기에 한 달가량 같이 일해주신 분께 이 글을 빌려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회사에 아쉬운 점
짧은 기간 동안 느꼈던 아쉬움을 글로써 남기기엔 그저 푸념의 일환일 뿐이다. 소규모 회사에서 오는 한계점은 다른 관점에서 조직만의 특성일 수 있기에 아쉬운 점은 블로그에 남기지 않겠다.
앞으로의 계획
닿을 수 있다면 체계적인 형태를 갖춘 곳에서 개발 경험을 계속 쌓아나가려는 게 현재로서의 계획이다. 말은 거창하게 했지만 쉽게 말해 결국 규모가 큰 곳에서의 일경험을 쌓아나가는 것이 현재 계획이다. 그렇기에 리스크가 있더라도 감수하고 발걸음을 옮겼다.
현재의 선택이 향후 나에게 불리하게 작용하더라도 해오던 것을 꾸준히 하며 0.1%로라도 어제보다 오늘 더 나아졌다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개발 노트 > Exper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근 적용한 FastAPI 아키텍처 (5) | 2024.11.07 |
---|---|
[Experience] wkhtmltopdf 사용으로 인해 발생한 SSTI 해결하기 (8) | 2024.09.02 |
[AWS] SESv2를 이용한 수신측 메일 열람여부 확인하기 (0) | 2024.06.03 |
tradingview.com로 알아보는 Websocket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 (1) | 2023.05.15 |
Django에 pytest 도입하기 (0) | 2023.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