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37) 썸네일형 리스트형 [25년 1월] 초심찾기 개요지나지 않을 거 같던 24년도 지났고 오지 않을 거 같던 25년도 와버려 이제 1월의 마지막이 되었다. 25년 계속 일상을 남기려 회고를 쓰려고 한다. 신년 해돋이해돋이 장소는 여의도 한강 공원이다. 명소를 찾아 움직이는 것보다 집에서 가까운 곳에 가는 것으로 고른 장소다. 막상 기대한 바와는 다르게 구름에 가려 떠오르는 해를 볼 수 없었다는 게 아쉽다. 일출 시간이 되기 전 해가 뜨는 방향으로 서있으면서 지나버린 24년과 앞으로의 25년을 생각하게 되었다. 주마등처럼 지나는 24년은 즐거운 한 해는 아니었기에 그런 일들이 있었지라는 정도로 상기하면서 씁쓸함을 삼키고 다가오는 25년은 어떻게 보내야 할지 막막하지만 기대감을 가지면서 앞만 보고 전진하자라는 다짐을 하게 된다. 무엇보다 25년의 시작점에.. Python에서 테스트명을 한글로 표시하는 방법 개요Python을 사용할 때 테스트 코드를 작성한다면 주로 unittest 나 pytest를 이용했다. unittest는 코딩테스트나 간단한 코드를 쓰는 상황에서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할 때였고 pytest는 백엔드 프레임워크(Django, Flask, FastAPI)를 다룰 때였는데 어떤 걸 사용하더라도 불편한 공통점이 하나 존재했다. 테스트 케이스명을 한글로 표시하지 못한다는 점이었다. 이러한 점 때문에 매번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할 때에는 부족한 영어를 총동원하여 작성했고 테스트가 수행되는 로그를 보면서 머릿속에서 "영어→한글"로의 번역을 해야 되는 부담이 가증됐다. 매번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할 때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없는지 이따금씩 조사해보곤 했는데 마침내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게 되어 정리.. [Review] 한빛미디어, 나는리뷰어다2024 - 무엇이 1등 팀을 만드는가? "한빛미디어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https://www.hanbit.co.kr/store/books/look.php?p_code=B8254214315 무엇이 1등 팀을 만드는가?앞서가는 팀의 리더는 그냥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리더십의 진정한 본질을 깨닫고 팀을 성공으로 이끄는 구글의 팀 리딩 비법!www.hanbit.co.kr 서평나는 현재 연차나 실력 면에서 팀 리더의 자리에 서기에는 부족하다고 느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종 '팀 매니징'과 관련된 책을 찾아보는 이유는 리더가 어떤 관점으로 팀을 바라봐야 하는지에 대해 깊은 관심이 있기 때문이다. 여러 회사를 거치며 다양한 리더들을 접해왔다. 어떤 리더는 직원을 하나의 '사람'으로 대하며, 그들의 환경과 상황을 고려해 .. Python의 Generic을 활용한 Repository Pattern 만들기 (feat, PEP 560) 개요 Repository Pattern은 데이터 저장소에 존재하는 데이터들을 마치 Application 메모리상에 존재하는 것처럼 가정하고 데이터 접근과 관련된 구현 사항을 추상화하는 패턴이다. Spring Boot에는 JPARepository라는 것이 있는데 이 추상화된 Repository를 사용하면 특정 Entity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 데이터를 질의할지 이미 구현된 메서드가 제공된다는 것을 체감했을 것이다. 이미 구현되어 있기에 간단한 기능은 다시 구현할 필요가 없으며 더 복잡한 조건이 필요하다면 네이밍 룰에 따라 메서드를 정의해서 사용하면 된다는 것이 특징이다. 프로젝트를 경험할 때마다 Python에는 JPARepository와 같은 역할을 대체하는 라이브러리가 없었기에 Python에서 Repos.. [Review] 한빛미디어, 나는리뷰어다2024 - 시작! AWS "한빛미디어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11월에 신청한 책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가이드북”, “시작 AWS!” 이렇게 두 권이었다. 읽고 싶었던 책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가이드북”이라는 쪽이었는데 이번에 받은 “시작 AWS!” 책을 읽어나가다 보니 오히려 필요한 쪽은 이 쪽이지 않았을까 싶다. AWS는 21년도에 처음 접하게 되었다. 그 당시 개발 프로젝트에서는 Django를 EC2에 올려서 직접 ssh로 접속해 git pull을 당겨 서비스 데몬을 재시작함으로써 배포하는 방식이었는데 이 과정에서 EC2를 시작으로 AWS에 스며들었던 듯하다. 아직도 이러한 부분은 남아있지만 그때 당시에는 AWS는 사용하면 할수록 참 어렵다는 인상이 깊은 클라우드 서비스였던 생각이 짙었다. 클.. 24.10.22 ~ 24.11.22 짧은 시간, 남은 흔적 약 한 달가량 다녔던 회사에 대해 돌아보고자 하는 차원에서 이 글을 작성하려 한다. 개인 심정을 드러내는 글이기에 이 글이 나에게 추후 어떤 영향을 끼칠지 모르지만 실패로부터 배우고 시도로부터 나아가기 위한 노력이라는 감상을 가진 채로 적어보고자 한다. 한 달가량 정도 경험한 일을 가지고 “떠난다”라고 표현하는 게 너무 과분한 느낌도 든다. 적어도 나에겐 “떠난다”라는 표현은 그동안 짊어진 무게와 책임을 내려놓고 다음 스텝을 향해 한 걸음 내딛는다라는 표현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글을 쓰는 건 “한 달”임에도 불구하고 여운이 남는 경험 때문이다. 왜 떠나는지 결국 “경험” 때문이다. 배경은 이러하다. 일전에 면접을 봤던 회사에서 다시 면접 제안이 왔었다. 다시 면접을 보고 돌아왔을 때 이 .. FastAPI에서 사용하는 Makefile CheetSheet 목차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개요 FastAPI에서 Makfile을 사용하다 보니 꽤나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들의 모음이 생겼다. 언젠가 정리해둬야겠다 싶었는데 이번 기회에 정리해보고자 한다. 1. ". env"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들기". env" 파일 프로젝트 코드 베이스 실행 간 필요한 환경변수들의 모음을 정의해 놓은 곳이다. Makefile에서도 이 환경변수를 참조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때 Makefile의 제일 상단에 다음과 같은 라인을 추가해 놓자.# .env 파일이 존재할 경우 환경변수로 가져오기ifneq (,$(wildcard .env)) include .env export $(shell sed 's/=.*//' .e.. FastAPI에 적용하는 Interface & Implements 와 DI Container 목차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지난글- 2024.11.08 - [Frame Work/FastAPI] - FastAPI에 적용하는 Interface & Implements개요지난 글에서는 생각과 설명의 나열이 주를 이뤘다. 또한 코드 예제까지 포함하면 긴 호흡의 글이 작성될 것 같아 코드 예제를 포함하지 않았다. 이 글은 지난 글의 “Enhancement”의 하위 주제인 “interface & implement”와 “DI Conatiner”에 대한 설명과 개인 경험과 그에 대한 생각을 추가하면서 실제 적용한 코드 예시까지 기록해보고자한다. Python에 Interface가 필요한가?만약 어떤 새가 오리처럼 걷고, 헤엄치고, 꽥꽥 거리는 소리를 낸다면 나.. 이전 1 2 3 4 ··· 43 다음